문제 설명 두 정수 X, Y의 임의의 자리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k(0 ≤ k ≤ 9)들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를 두 수의 짝꿍이라 합니다(단,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중 서로 짝지을 수 있는 숫자만 사용합니다). X, Y의 짝꿍이 존재하지 않으면, 짝꿍은 -1입니다. X, Y의 짝꿍이 0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짝꿍은 0입니다.
예를 들어, X = 3403이고 Y = 13203이라면,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3, 0, 3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330입니다. 다른 예시로 X = 5525이고 Y = 1255이면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2, 5, 5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552입니다(X에는 5가 3개, Y에는 5가 2개 나타나므로 남는 5 한 개는 짝 지을 수 없습니다.)
두 정수 X, Y가 주어졌을 때, X, Y의 짝꿍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3 ≤ X, Y의 길이(자릿수) ≤ 3,000,000입니다. X, Y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X, Y의 짝꿍은 상당히 큰 정수일 수 있으므로, 문자열로 반환합니다.
입출력 예
🔵 풀이 1 - 시간초과
처음 계획은 X와 Y 중 길이가 짧은 것을 기준(shorter)으로 두고 for...in 문을 돌리며
1. shorter의 글자가 다른 문자열(longer)에 있는지 확인 -> firstIndex(of:)
이번에는 문자를 하나씩 대조하는 대신 숫자가 몇개씩 들어있는지를 딕셔너리로 만들어 버렸다.
그리고 맨 마지막에 mate가 0으로만 되어있는지를 확인할 때에는 allSatisfy(_:)를 이용했다.
이번엔 시간초과 없이 성공!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2(_ X:String, _ Y:String) -> String {
let xDict = makeNumDict(X)
let yDict = makeNumDict(Y)
// mate 구하기
var mate: String = ""
for i in stride(from: 9, through: 0, by: -1) { // 9부터 0까지
mate += String(repeating: Character(String(i)), count: min(xDict[i]!, yDict[i]!))
}
// mate 판별하기
if mate.isEmpty {
return "-1"
}
if mate.allSatisfy( { $0 == "0" }) {
return "0"
}
return mate
}
func makeNumDict(_ num: String) -> [Int:Int] {
var numDict: [Int:Int] = [:]
// 빈 사전 만들기
for i in 0...9 {
numDict[i] = 0
}
// 사전 값 넣기
for i in num {
if let count = numDict[Int(String(i))!] {
numDict[Int(String(i))!] = count + 1
}
}
return numDict
}
🥕 allSatisfy(_:)
allSatisfy(_:)는 시퀀스의 각 요소가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true/false로 나타내는 메소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