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6491 문제 설명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 70이기 때문에 80(가로) x 70(세로)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가로) x 50(세로) 크기의 지갑으로 ..
🔴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7355 문제 설명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질 때,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 중에서, 이 부분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나오는 횟수를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t="3141592"이고 p="271" 인 경우, t의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은 314, 141, 415, 159, 592입니다. 이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 중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141, 159 2개 입니다. 제한사항 1 ≤ p의 길이 ≤ 18p의 길이 ≤ t의 길이 ≤ 10,000t와 p는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 문제 문제 설명 한국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각자 정수 번호를 갖고 있습니다. 이 학교 학생 3명의 정수 번호를 더했을 때 0이 되면 3명의 학생은 삼총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5명의 학생이 있고, 각각의 정수 번호가 순서대로 -2, 3, 0, 2, -5일 때, 첫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하면 0이므로 세 학생은 삼총사입니다. 또한,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해도 0이므로 세 학생도 삼총사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 한국중학교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삼총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한국중학교 학생들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학생들 중 삼총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0 문제 설명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합니다.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 풀이 우선 String을 " " 기준으로 split 하여 배열에 넣은 뒤, 그 배열들에 for...in 반복문으로 접근해서 짝수번째 알파벳..
🔴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935 문제 설명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3진법 상에서 앞뒤로 뒤집은 후, 이를 다시 10진법으로 표현한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은 1 이상 100,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 풀이 1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Int) -> Int { // reversed 3진수 구하기 var reversedArr: [Int] = [] var temp = n while true { if temp == 0 { break } reversedArr.append(temp % 3)..
1️⃣ To do list 9시 - 코드카타 2개 11시 - 어제 강의 복습 오후 - 문법 고급 강의 (1-7 ~ 1-9) 과제(숫자 야구 게임) 2️⃣ 배운 것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Custom Data Types) 중, 특히 값 타입을 만들 때는 private 접근 제한자를 사용하는 게 권장된다는 것을 배웠다. 접근제한자에 따라 타입 내-외부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정도가 달라지는데, iternal과 private은 다음과 같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 iternal로 선언 -> 외부에서 프로퍼티 값에 접근 가능 접근제한자를 생략할 경우, 티폴트로 iternal로 선언된다. Matrix 구조체에서 data 프로퍼티를 iternal로 선언했더니 구조체 바깥에서 프로퍼티에 접근은 물론, 수정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