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문제 설명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두 수 3, 12의 최대공약수는 3, 최소공배수는 12이므로 solution(3, 12)는 [3, 12]를 반환해야 합니다. 제한 사항 두 수는 1이상 1000000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 풀이 최소공배수는 두 값의 곱을 최대공약수로 나눈 값이라는 건 알고 있다. 그런데 최대공약수는 어떻게 구하지?!! 1부터 일일이 나눠봐야하나...!!!! 결국 구글의 도움을 빌려, 유클리드 호제법으로 최대공약수를 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유클리드 호제법 : 2개의 자연수 또는 정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69 문제 설명 이 문제에는 표준 입력으로 두 개의 정수 n과 m이 주어집니다. 별(*) 문자를 이용해 가로의 길이가 n, 세로의 길이가 m인 직사각형 형태를 출력해보세요. 제한 조건 n과 m은 각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예시 입력 5 3 출력 ***** ***** ***** 🔵 풀이 🖌️ 풀이 1 ("*" n개 -> \n ) * m개를 출력하면 될 것 같다. 그런데 주어진 코드를 보니, readLine(), components, map을 쓰라고 되어 있어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짰다. import Foundation let n = readLine()!.componen..
1️⃣ To do list오전9시 - 코드카타 : 2024.03.11 - [Swift/Code Kata (알고리즘)] - [Swift|코드카타] (프로그래머스) #37. 행렬의 덧셈10시 - 발제 zoom오후 1문법 심화 강의 (1-1 ~ 1-6)헷갈리는 개념 해결 - 연산프로퍼티, 클로저 2️⃣ 배운 것1. 연산프로퍼티프로퍼티는 저장프로퍼티와 연산프로퍼티 두 개로 나눌 수 있다.- 저장 프로퍼티 : let 또는 var로 값을 선언let name: String = "민수"var age: Int = 10 - 연산 프로퍼티 : 매번 연산을 해야하므로 var로만 선언할 수 있다.var sum: Int { // get : 어떤 저장 프로퍼티의 값을 연산해서 return할 것인지 (sum 값을 가져옴..
🔴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50 문제 설명 행렬의 덧셈은 행과 열의 크기가 같은 두 행렬의 같은 행, 같은 열의 값을 서로 더한 결과가 됩니다. 2개의 행렬 arr1과 arr2를 입력받아, 행렬 덧셈의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행렬 arr1, arr2의 행과 열의 길이는 500을 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 시행착오 🙅🏻♀️ 배열끼리의 연산 불가능 (arr1 + arr2 ❌) arr1 + arr2 는 안 된다. [1,2,3] + [4,5,6] => [1,2,3,4,5,6]이 되듯, 그냥 리스트를 이어 붙이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var arr1 = [[1,2],..
🔗 왕초보를 위한 Git 명령어 모음집 (링크)🟥 프로젝트 처음 시작할 때 팀장이 세팅할 것1단계: git 세팅1. 프로젝트 폴더 생성 2. 초기 코드 작성 3. 깃 초기화, 저장git initgit add .git commit -m "메시지" 4. 깃헙 레포지토리 생성 5. 깃헙 업로드git remote add origin // 깃헙 주소를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저장git branch -M main // 현재 브랜치명(master)을 main으로 바꾼다(관례)git push -u origin main // 'git push'라고만 해도 git push origin main이 실행되도록 함 2단계: 브랜치 세팅1. 로컬에서 develop 브랜치 생성 (main은 최종본이므로..
브랜치를 사용하는 이유: 브랜치를 만든다는 것은, 프로젝트의 사본을 만드는 것과 유사하다. 그렇다면 사본을 왜 만들어야 할까? 1. 협업할 때 용이하다. 민수와 민지가 함께 어플을 만드는데, 각각 기능 A, B를 개발해야 한다고 하자. 코드를 짜며 상시적으로 저장하고 백업을 할텐데, 두 명 다 원본 파일로 백업을 시도한다면 충돌이 발생한다. 따라서 민수와 민지는 각자 사본에서 기능 개발을 완료한 이후에 서로의 코드를 합쳐야 한다. 2. 프로젝트 버전을 업데이트 할 때 용이하다. 시장에 프로젝트ver1이 출시되어 있고, 업데이트를 위해 ver2를 작업중인 상황에서 ver1을 이용중인 사용자에게서 오류가 보고될 수 있다. 코드에서 오류를 수정해야 할텐데, 만약 ver1 코드를 남겨두지 않았다면 ver2 코드..